Search

권**

권순환_자율적 교육활동 탐구보고서.hwp
106.0KB
1학기말 수업량 유연화에 따른 학교 자율적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미래형 시민 참여 정책 설계를 위한 융합적 탐구 역량 신장를 위해 교과융합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함. 2학년 사회문화에서 배운 시민 사회와 참여 의식에 대한 이해와 정치와 법에서 배운 정치 참여 제도 및 민주적 의사결정 절차를 토대로 시민 참여 기반의 협치 전략을 중심으로 탐구를 확장하여, 공론조사, 해커톤, 리빙랩, 정책랩 등 주요 협치 도구들을 정책 수명주기 단계, 정보 제공 방식, 시민 권한 구조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비교하고 서울시·수원시·핀란드 사례를 통해 실제 운영 구조와 효과를 분석함.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시뮬레이션, 제도화된 시민 제안 반영 체계 등 미래형 협치 전략을 구체화하며 디지털 기술과 제도 설계의 결합을 통해 정책 참여의 가능성과 한계를 균형 있게 고찰함. 또한 SDG 16(평화·정의·강력한 제도)과 SDG 17(이행수단과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의 실현을 위해 시민의 참여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정책 형성과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구조화된 조사와 사례 비교, 정책화 방안 도출까지 전 과정에서 높은 분석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주도적인 탐구 태도를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