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강**

강민성_학습심화주제탐구보고서.hwp
111 KB
참고자료
중간단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통한 HubWA 단백질의 접힘(folding) 반응 탐색.pdf
651.5 KB
도연T 과제 참고 멘트
실험의 경우 실험을 했다라고 적어도 되는 경우라면 현재 보고서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는데 실험없이 자료 조사만 해야하는 보고서라면 실험결과를 '예상실험결과'로 바꾸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탐구성찰 부분에서 '일련의 탐구와 실험을 진행하면서'를 '일련의 탐구과정에서'로 바꾸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험의 경우 제가 조사하면서 chat GPT 참고해서 제가 생각한거라서 특정 출처를 적기는 어렵습니다.
강민성_학습 심화 주제 탐구 보고서 (수정본).hwp
107 KB
수정 내용은 빨간색으로 표시해두었습니다! 그리고 오류수정 관련 설명입니다 1.과학 칼럼에 있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어서 큰 문제는 될 것 같지 않고 ‘수용성 결합’은 논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서 삭제했습니다. 2. '염 이온(Na⁺, Cl⁻)이 단백질 사이의 전하를 변화시켜 단백질 간 상호작용(이온결합 등)을 유도하여 구조 불안정성 증가하여 단백질 변성을 촉진했다'가 아니라 '가능성이 있다'고 표현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3.설탕 분자에 있는 수많은 하이드록시기가 단백질 표면의 극성 부위와 수소결합을 형성해 단백질이 외부 환경과 덜 직접 접촉하게 만들어 단백질 안정화에 기여했을 것->고1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너무 깊이 들어가면 너무 어려워질 것이므로 간략한 원리로 봐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4. '젤라틴이 단백질 표면에 얇은 보호층처럼 결합하거나 덮여서 외부자극으로부터 단백질을 보호했을 가능성 있음' 문장의 끝을 '가능성 있음'으로 수정하고 '직접적으로'라는 표현을 삭제해서 논란의 여지를 없앴습니다. 5.'설탕이 단백질 변성을 방지하는 원리를 이용해 화상 방지용 밴드를 만들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 밴드에도 하이드록시기가 많도록 만들면 화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이 부분은 제가 생각한 아이디어여서 근거가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아이디어를 넣은 것은 학생 자신이 스스로 생각해본 자신만의 의견이나 아이디어는 세특 차별화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