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학습 상황에서 주어진 공식과 풀이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제 맥락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려는 태도가 돋보였음. 생리 주기 동안 PdG 호르몬 농도가 일정한 주기성을 보임에 착안해 사인함수로의 모델링 가능성을 추론하고, 일자별 데이터를 수집해 그래프로 시각화하며 변화 양상을 직관적으로 해석함. 일정한 리듬을 사인함수로 구현하기 위해 진폭과 평균값 등을 수차례 조정하며 그래프의 적합도를 분석하였으며 차이를 적극적으로 비교 검토해 최종 모델을 설정함. 분석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가 실제 생리 주기가 이상적인 수학적 주기와 불일치함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식하고, 수학 모델과 생리 현상 간의 관계를 주체적으로 해석함. 이후 PdG 외 다른 호르몬에도 주기함수를 적용할 계획을 수립하고 함수를 통해 생체 리듬을 해석할 수 있음을 깨달음. 생리 주기 변화에 의문을 갖고 추가 조사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코르티솔 분비가 증가해 주기 변동이 생김을 발견함. 코르티솔의 농도 변화에 따른 호르몬 곡선의 진폭과 위상 변화를 분석하며 기존 사인함수 모델에 추가 변수를 구조화해 정확히 적용하는 모습을 보임. 외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함수 구조로 해석하고자 하는 수학적 탐구 역량이 돋보이는 학생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