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강**

1.
학습목표
매체에서 다뤄지는 역사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미디어 속 역사 재현을 실제 역사와 비교/분석할 수 있다.
2.
과제수행단계
1) 미디어 선정
선정 기준 : 일제강점기를 다룰 것,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재현한 미디어일 것
예시 작품: 영화 암살>, <봉오동 전투>, <박열>, 동주>, 항거: 유관순 이야기>, 군함도>, <말모이 등 / 드라마 <각시탈>, <인시대2-1부 등
"왜 이 작품을 선택했는가?"를 구체적으로 서술
2) 미디어와 실제 역사 비교
사실적 요소 : 사건, 인물, 시대적 배경이 실제 역사와 일치하는가?
창작적 요소 : 극적 효과를 위해 각색되거나 허구화된 부분은 무엇인가?
자료 수집 후, 출처를 명확히 표기할 것
※ 비교할 때 단순히 '맞다/틀리다'가 아니라 '왜 이렇게 표현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
3) 시사점 파악 및 나만의 감상평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고민해보기
주관적 견해와 비판적 시각을 함유 : 작품의 장점과 단점(한계점), 미화되거나 왜곡된 부분에 대한 비판
창의적 사고 : '만약 내가 감독이라면 어떻게 표현해볼까' 등 대안도 함께 생각해보기
3.
글쓰기 구조 예시
서론 : 작품 소개 및 선정 동기
본론1 : 작품 내용 간단하게 요약(소개)
본론2 : 실제 역사와의 비교•분석
본론3 : 작품의 시사점 분석
결론 : 개인적 감상 및 비판 의견 정리
4.
유의사항
자료 및 미디어 내용을 단순 요약하는 것이 아니라 작성자의 견해가 반영된 비판적 분석 글이어야 함
인용한 자료는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함
OpenAI(ChatGPT, Gemini, 뤼튼 등)를 활용하는 것은 무방하지만 AI가 작성한 내용을 그대로 베껴 적는 행위는 부정행위로 간주함(표절 의심 결과물 대상 AI 표절 검사 진행 예정)
1일차: 미디어(영화) 시청(암살&봉오동 전투)
탐구 미디어(영화, 드라마 등) 1가지 선정(두가지 외 다른 미디어도 가능)
영화의 내용 및 역사적 흐름 파악(인상 깊었던 장면 혹은 대사)
2일차: 미디어와 실제 역사 비교•분석하기 - 9/9
역사적 배경 및 사건, 주요 등장인물들에 대한 실제 역사 자료를 조사한 후, 사실적으로 잘 표현
된 부분과 허구적이고 각색된 부분들을 구분해 보기
자료 출처는 명확하게 밝혀야 함(미제시 시, 감점)
3일차: 1~2일차에 조사한 내용을 한 편의 글로 완성하기(글쓰기 구조 예시는 뒷면 참고)
1~2일차에 본인이 조사한 모든 내용 참고 가능, 필요시 추가 자료 조사 가능(Open-book)
OpenAL를 활용할 수는 있으나, AI가 작성한 내용을 그대로 베껴 적는 행위는 부정행위로 간주
[평가요소]
1.
미디어 선정 동기: 미디어 선정 이유를 본인의 관심 분야와 관련해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서술함.
2.
미디어와 실제 역사 비교 분석: 미디어에서 다뤄진 인물(혹은 사건)과 그에 대한 역사적 사실(시대적 배경, 생애 및 업적, 사건의 전개 과30정 및 결과)을 관련 도서 및 자료를 통해 중실히 분석하고 적절히 비교함
3.
해당 미디어의 시사점 파악 및 자신만의 감상평 작성: 해당 미디어의 시사점을 파악하고 미디어에 대한 자신의 감상평(새롭게 알게 된 사실, 해당 미디어의 장/단점, 느낀점)을 충실히 작성함.
4.
내용의 충실성: 논리와 일관성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글을 구성하고, 평가요소를 충실히 반영하여 작성함.
강민성_한국사2_봉오동전투.docx
21.3 KB
손혜인 1차 검수 내용
영화내용의 경우 나무위키+넷플릭스로 직접 확인함